JF-0530B 솔레노이드(JF-0530B Solenoid)
개요
JF-0530B 솔레노이드는 전기 신호를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전자기 유도 원리가 사용됩니다.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에 의해 철심이 앞으로 움직이며 전류가 끊기면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옵니다.
작동 원리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류가 코일을 통과하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그에 따라 내부의 이동 가능한 철심이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계적 작동(직선 운동)이 발생하며 전원이 차단되면, 철심은 원래 위치로 자동 복귀합니다.
사양
사이즈 | (본체) 30.1 x 13.2 mm / 철심 포함 약 61mm |
전압 | 6V, 12V 등 다양하며 본문에서는 6V 모델을 사용 |
타입 | Push & Pull |
활용 예제
아두이노 디지털 핀으로는 JF-0530B 솔레노이드를 사용하기 위한 전류 공급이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릴레이 모듈 또는 모스펫을 활용하여 전류를 안전하게 제어합니다.
짧은 텀을 두고 장시간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에 발열이 생겨 뜨거울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릴레이와 모스펫 차이
모스펫 스위칭 시에 전력 소모가 적고, 전자적 스위칭이므로 릴레이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를 가집니다.
또한 기계적 부품이 없어 물리적 움직임이 필요한 릴레이보다 더 긴 수명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릴레이는 높은 전압이나 전류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아두이노와 장치 간 전기적인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릴레이 모듈 활용
회로 구성
아두이노 | 릴레이 | 솔레노이드 | 외부전원 |
---|---|---|---|
5V | VCC | ||
GND | GND | 검정색 선 | 검정색 선 혹은 -극 |
D4 | INI | ||
COM | 빨간색 선 | ||
NO | 빨간색 선 혹은 +극 |
가운데|class=coders100
예제 코드
const int relay = 4;
void setup() {
pinMode(relay, OUTPUT);
}
void loop() {
digitalWrite(relay, LOW);
delay(3000);
digitalWrite(relay, HIGH);
delay(3000);
}
실행 결과
2. 모스펫 활용
회로 구성
아두이노 | 모스펫 | 솔레노이드 | 외부전원 |
---|---|---|---|
5V | VCC | ||
GND | GND | ||
D4 | SIG | ||
COM | |||
NO | |||
Vin | 빨간색 선 혹은 +극 | ||
GND | 검정색 선 혹은 -극 | ||
V+ | 빨간색 선 | ||
V- | 검정색 선 |
예제 코드
const int mosfet = 4;
void setup() {
pinMode(mosfet, OUTPUT);
}
void loop() {
digitalWrite(mosfet, LOW);
delay(3000);
digitalWrite(mosfet, HIGH);
delay(3000);
}
실행 결과